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자바스크립트가 제공하는 7가지 데이터 타입(숫자, 문자열, 불리언, null, undefined, 심벌, 객체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object/reference type) 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릅니다.



1. 원시 값

1.1 변경 불가능한 값

원시 타입(primitive type)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 입니다.
다시 말해,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read only) 값으로서 변경할 수 없습니다.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생각해봅시다.
먼저 변수와 값은 구분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이고, 값은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를 말합니다.

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진술입니다.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하다”는 말은 원시 값 자체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지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변수는 언제든지 재할당을 통해 변수 값을 변경(엄밀히 말하자면 교체)할 수 있습니다.

변수의 상대 개념인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합니다.
상수도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므로 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변수는 언제든지 재할당을 통해 변수 값을 변경(교체)할 수 있지만 상수는 단 한 번만 할당이 허용되므로 변수 값을 변경(교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상수와 변경 불가능한 값을 동일시하는 것은 곤란합니다.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일 뿐입니다.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일 뿐이다.
const o = {};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원시값(상수)은 변경할 수 없다.
// 하지만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객체는 변경할 수 있다.
o.a = 1;
console.log(o); // {a: 1}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 즉 읽기 전용 값입니다.
원시 값은 어떤 일이 있어도 불변합니다.
이러한 원시 값의 특성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재할당 이전의 원시 값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원시 값을 저장한 후, 변수는 새롭게 재할당한 원시 값을 가리킵니다.
이때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가 바뀝니다.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가 변경된 이유는 변수에 할당된 원시 값이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원시 값이 변경 가능한 값이라면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했을 때 변수가 가리키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바꿀 필요없이 원시 값 자체를 변경하면 그만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는 바뀌지 않습니다.

하지만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에 값을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변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한 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합니다.

값의 이러한 특성을 불변성(immutability) 이라 합니다.

불변성을 갖는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이외에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만약 재할당 이외에 원시 값인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다면 예기치 않게 변수 값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값의 변경, 즉 상태 변경을 추적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1.2 문자열과 불변성

원시 값을 저장하려면 먼저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원시 타입별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미리 정해져 있습니다.
단, ECMAScript 사양에 문자열 타입(2바이트)과 숫자 타입(8바이트) 이외의 원시 타입은 크기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는 않아서 브라우저 제조사의 구현에 따라 원시 타입의 크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원시 값인 문자열은 다른 원시 값과 비교할 때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

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character)로 이뤄진 집합을 말하며, 1개의 문자는 2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문자열은 몇 개의 문자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숫자 값은 1도, 1000000도 동일한 8바이트가 필요하지만 문자열의 경우 (실제와는 다르지만 단순하게 계산했을 때) 1개의 문자로 이뤄진 문자열은 2바이트, 10개의 문자로 이뤄진 문자열은 20바이트가 필요합니다.


// 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들로 이뤄진 집합이다.
var str1 = ""; // 0개의 문자로 이뤄진 문자열(빈 문자열)
var str2 = "Hello"; // 5개의 문자로 이뤄진 문자열


이 같은 이유로 C에는 하나의 문자를 위한 데이터 타입(char)만 있을 뿐 문자열 타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C에서는 문자열을 문자의 배열로 처리하고 자바에서는 문자열은 String 객체로 처리합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원시 타입인 문자열 타입을 제공합니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은 원시 타입이며, 변경 불가능 합니다.
이것은 문자열이 생성된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var str = "Hello";
str = "world";


첫 번째 문이 실행되면 문자열 ‘Hello’가 생성되고 식별자 str은 문자열 ‘Hello’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첫 번째 메모리 셀 주소를 가리킵니다.
그리고 두 번째 문이 실행되면 이전에 생성된 문자열 ‘Hello’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자열 ‘World’를 메모리에 생성하고 식별자 str은 이것을 가리킵니다.

이때 문자열 ‘Hello’와 ‘world’는 모두 메모리에 존재합니다.
식별자 str은 문자열 ‘Hello’를 가리키고 있다가 문자열 ‘world’를 가리키도록 변경되었을 뿐입니다.

문자열의 한 문자를 변경해 봅시다.
문자열은 유사 배열 객체이면서 이터러블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유사 배열 객체(array-like object)
유사 배열 객체란 마치 배열처럼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고 length 프로퍼티를 갖는 객체를 말합니다.
문자열은 마치 배열처럼 인덱스를 통해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으며, length 프로퍼티를 갖기 때문에 유사 배열 객체이고 for 문으로 순회할 수도 있습니다.


var str = "string";

// 문자열은 유사 배열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인덱스를 사용해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다.
console.log(str[0]); // s

// 원시 값인 문자열이 객체처럼 동작한다.
console.log(str.length); // 6
console.log(str.toUpperCase()); // STRING


갑자기 원시 값인 문자열이 객체일 수도 있다니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원시 값을 객체처럼 사용하면 원시 값을 감싸는 래퍼 객체로 자동 변환됩니다.

var str = "string";

// 문자열은 유사 배열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인덱스를 사용해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다.
// 하지만 문자열은 원시값이므로 변경할 수 없다. 이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str[0] = "S";

console.log(str); // string


str[0] = ‘S’처럼 이미 생성된 문자열의 일부 문자를 변경해도 반영되지 않습니다.
문자열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한번 생성된 문자열은 읽기 전용 값으로서 변경할 수 없습니다.

원시 값은 어떤 일이 있어도 불변합니다.
따라서 예기치 못한 변경으로부터 자유롭습니다.
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그러나 변수에 새로운 문자열은 재할당하는 것은 물론 가능합니다.
이는 기존 문자열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자열을 새롭게 할당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1.3 값에 의한 전달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 80
console.log(copy); // 80

score = 100;

console.log(score); // 100
console.log(copy); // ?


score 변수에 숫자 값 80을 할당했습니다.
그리고 copy 변수에 score 변수를 할당했습니다.
그 후, score 변수에 새로운 숫자 값 100을 재할당하면 copy 변수의 값은 어떻게 될까요?

이 질문의 핵심은 “변수에 변수를 할당했을 때 무엇이 어떻게 전달되는가?”입니다.

copy = score 에서 score는 변수 값 80으로 평가되므로 copy 변수에도 80이 할당될 것입니다.
이때 새로운 숫자 값 80이 생성되어 copy 변수에 할당됩니다.

이처럼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 받는 변수(copy)에는 할당되는 변수(score)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이를 값에 의한 전달 이라 합니다.

위 예제의 경우 copy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score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copy)에는 할당되는 변수(score)의 원시 값 80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var score = 80;

// copy 변수에는 score 변수의 값 80이 복사되어 할당된다.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copy); // 80  80
console.log(score === copy); // true


이떄 score 변수와 copy 변수는 숫자 값 80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 80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입니다.

이제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해 봅시다.


var score = 80;

// copy 변수에는 score 변수의 값 80이 복사되어 할당된다.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copy); // 80  80
console.log(score === copy); // true

//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
// 따라서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copy 변수의 값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score = 100;

console.log(score, copy); // 100  80
console.log(score === copy); // false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 80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라는 것에 주의하기 바랍니다.
따라서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copy 변수의 값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습니다.

참고로 “값에 의한 전달”이라는 용어는 자바스크립트를 위한 용어가 아니므로 사실 오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엄격하게 표현하면 변수에는 값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가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변수와 같은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식별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봅시다.
식별자는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해낼 수 있는 고유한 이름 입니다.
값은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식별자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해낼 수 있어야 하므로 변수와 같은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식별자로 값을 구별해서 식별한다는 것은 식별자가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즉, 식별자는 메모리 주소에 붙인 이름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var x = 10;


위 예제의 경우 할당 연산자는 숫자 리터럴 10에 의해 생성된 숫자 값 10이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전달합니다.
이로써 식별자 x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숫자 값 10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var copy = score;


위 예제의 경우 score는 식별자 표현식으로서 숫자 값 80으로 평가됩니다.
이때 두 가지 평가 방식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값에 의한 전달”도 사실은 값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전달합니다.
단, 전달된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값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변수 할당 시점이든, 두 변수 중 어느 하나의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는 시점이든 결국은 두 변수의 원시 값은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도니 별개의 값이 되어 어느 한쪽에서 재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하더라도 서로 간섭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2. 객체

객체는 프로퍼티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퍼티의 값에도 제약이 없습니다.
따라서 객체는 원시 값과 같이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습니다.

객체는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므로 객체를 관리하는 방식이 원시 값과 비교해서 복잡하고 구현 방식도 브라우저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원시 값은 상대적으로 적은 메모리를 소비하지만 객체는 경우에 따라 크기가 매우 클 수도 있습니다.
객체를 생성하고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것도 원시 값과 비교할 때 비용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

따라서 객체는 원시 값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관리 방식
자바스크립트 객체는 프로퍼티 키를 인덱스로 사용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 해시 테이블은 연관 테이블, map, dictionary, lookup table이라 부르기도 합니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해시 테이블과 유사하지만 높은 성능을 위해 일반적인 해시 테이블보다 나은 방법으로 객체를 구현합니다.


자바, C++ 같은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사전에 정의된 클래스를 기반으로 객체(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다시 말해, 객체를 생성하기 이전에 이미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정해져 있으며 그대로 객체를 생성합니다.
객체가 생성된 이후에는 프로퍼티를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지만 성능 면에서는 이론적으로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객체보다 생성과 프로퍼티 접근에 비용이 더 많이 드는 비효율적인 방식입니다.

따라서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는 프로퍼티에 접근하기 위해 동적 탐색(dynamic lookup) 대신 히든 클래스(hidden class)라는 방식을 사용해 C++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정도의 성능을 보장합니다.
히든 클래스는 자바와 같이 고정된 객체 레이아웃(클래스)과 유사하게 동작합니다.


2.1 변경 가능한 값

객체(참조)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mutable value)입니다.
먼저 변수에 객체를 할당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부터 살펴봅시다.


var person = {
  name: "Lee",
};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원시 값을 접근할 수 있습니다.
즉,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원시 값 자체를 값으로 갖습니다.

하지만 객체를 할당한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참조 값(reference value)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참조 값은 생성된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 그 자체입니다.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원시 값에 접근합니다.
하지만 객체를 할당한 변수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값을 통해 실제 객체에 접근합니다.


// 할당이 이뤄지는 시점에 객체 리터럴이 해석되고, 그 결과 객체가 생성된다.
var person = {
  name: "Lee",
};

// person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값으로 실제 객체에 접근해서 그 객체를 반환한다.
console.log(person); // {name: "Lee"}


일반적으로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의 경우 “변수는 XX 값을 갖습니다” 또는 변수의 값은 XX 입니다”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객체를 할당한 변수의 경우 “변수는 객체를 참조하고 있습니다” 또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고(point) 있습니다”라고 표현합니다.

위 예제에서 person 변수는 객체 { name: ‘Lee’ }를 가리키고(참조하고) 있습니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원시 값을 갖는 변수의 값을 변경하려면 재할당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하지만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입니다.
따라서 객체를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없이 객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습니다.

즉, 재할당 없이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고 프로퍼티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프로퍼티 자체를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var person = {
  name: "Lee",
};

// 프로퍼티 값 갱신
person.name = "Kim";

// 프로퍼티 동적 생성
person.address = "Seoul";

console.log(person); // {name: "Kim", address: "Seoul"}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원시 값을 갖는 변수의 값을 변경하려면 재할당을 통해 메모리에 원시 값을 새롭게 생성해야 합니다.
하지만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므로 메모리에 저장된 객체를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객체를 할당한 변수에 재할당을 하지 않았으므로 객체를 할당한 변수의 참조 값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은 매우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
객체를 변경할 때마다 원시 값처럼 이전 값을 복사해서 새롭게 생성한다면 명확하고 신뢰성이 확보되겠지만 객체를 크기가 매우 클 수도 있고, 원시 값처럼 크기가 일정하지도 않으며, 프로퍼티 값이 객체일 수도 있어서 복사(deep copy)해서 생성하는 비용이 많이 듭니다.
다시 말해, 메모리의 효율적 소비가 어렵고 성능이 나빠집니다.

따라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리고 객체를 복사해 생성하는 비용을 절약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메모리 사용의 효율성과 성능을 위해 어느 정도의 구조적인 단점을 감안한 설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객체는 이러한 구조적 단점에 따른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것은 원시 값과는 다르게 여러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객체를 프로퍼티 값으로 갖는 객체의 경우 얕은 복사는 한 단계까지만 복사하는 것을 말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까지 모두 복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const o = { x: { y: 1 } };

// 얕은 복사
const c1 = { ...o }; // 35장 "스프레드 문법" 참고
console.log(c1 === o); // false
console.log(c1.x === o.x); // true

// lodash의 cloneDeep을 사용한 깊은 복사
// "npm install lodash"로 lodash를 설치한 후, Node.js 환경에서 실행
const _ = require("lodash");
// 깊은 복사
const c2 = _.cloneDeep(o);
console.log(c2 === o); // false
console.log(c2.x === o.x); // false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로 생성된 객체를 원본과는 다른 객체입니다.
즉, 원본과 복사본은 참조 값이 다른 별개의 객체입니다.

하지만 얕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의 경우 참조 값을 복사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까지 모두 복사해서 원시 값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든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다음과 같이 원시 값을 할당한 다른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깊은 복사, 객체를 할당한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얕은 복사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const v = 1;

// "깊은 복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const c1 = v;
console.log(c1 === v); // true

const o = { x: 1 };

// "얕은 복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const c2 = o;
console.log(c2 === o); // true


2.2 참조에 의한 전달

여러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로 인해 어떤 부작용이 발생하는지 확인해 봅시다.


var person = {
  name: "Lee",
};

// 참조값을 복사(얕은 복사)
var copy = person;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원본, person)를 다른 변수(사본, copy)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합니다.

원본 person을 사본 copy에 할당하면 원본 person의 참조 값을 복사해서 copy에 저장합니다.
이때 원본 person과 사본 copy는 저장된 메모리 주소는 다르지만 동일한 참조 값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 원본 person과 사본 copy 모두 동일한 객체를 가리킵니다.

이것은 두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본 또는 사본 중 어느 한쪽으로 객체를 변경(변수에 새로운 객체를 재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의 프로퍼티 값을 변경하거나 프로퍼티를 추가, 삭제)하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var person = {
  name: "Lee",
};

// 참조값을 복사(얕은 복사). copy와 person은 동일한 참조값을 갖는다.
var copy = person;

// copy와 person은 동일한 객체를 참조한다.
console.log(copy === person); // true

// copy를 통해 객체를 변경한다.
copy.name = "Kim";

// person을 통해 객체를 변경한다.
person.address = "Seoul";

// copy와 person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킨다.
// 따라서 어느 한쪽에서 객체를 변경하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console.log(person); // {name: "Kim", address: "Seoul"}
console.log(copy); // {name: "Kim", address: "Seoul"}


결국 “값에 의한 전달”과 “참조에 의한 전달”은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면에서 동일합니다.

다만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 즉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원시 값이냐 참조 값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에는 “참조에 의한 전달”은 존재하지 않고 “값에 의한 전달”만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자바스크립트의 이 같은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정확한 용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값에 의한 전달”이나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공유에 의한 전달” 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용어 또한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자바스크립트의 공식적인 용어는 아니며 자바스크립트의 동작 방식을 정확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마지막으로 퀴즈를 풀어봅시다.


var person1 = {
  name: "Lee",
};

var person2 = {
  name: "Lee",
};

console.log(person1 === person2); // ①
console.log(person1.name === person2.name); // ②


=== 일치 비교 연산자는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타입 변환하지 않고 비교합니다.
객체를 할당한 변수는 참조 값을 가지고 있고,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원시 값 자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 일치 비교 연산자를 통해 객체를 할당한 변수를 비교하면 참조 값을 비교하고,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를 비교하면 원시 값을 비교합니다.

객체 리터럴은 평가될 때마다 객체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person1 변수와 person2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를 비록 내용은 같지만 다른 메모리에 저장된 별개의 객체입니다.

즉, person1 변수와 person2 변수의 참조 값은 전혀 다른 값입니다.
따라서 ①은 false 입니다.

하지만 프로퍼티 값을 참조하는 person1.name과 person2.name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입니다.
두 표현식 모두 원시 값 ‘Lee’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②는 true입니다.





정규표현식으로 시간 절약하기
당신의 하루에 몇 시간을 더하세요
WPF MVVM 패턴, 그리고 Binding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시리즈
AWS SAA 준비 - (4) 비용에 최적화된 아키텍처 설계
(정리) Exam Readiness - AWS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AWS SAA 준비 - (3) 안전한 아키텍처
(정리) Exam Readiness - AWS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AWS SAA 준비 - (2) 성능이 뛰어난 아키텍처 설계
(정리) Exam Readiness - AWS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AWS SAA 준비 - (1) 복원력을 갖춘 아키텍처 설계
(정리) Exam Readiness - AWS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15분 안에 ToC를 구현해보자!
Vanilla JS로 Table of Contents 구현하기
모듈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8장 | 모듈
에러 처리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7장 | 에러 처리
제너레이터와 async/await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6장 | 제너레이터와 async/await
프로미스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5장 | 프로미스
REST API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4장 | REST API
Ajax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3장 | Ajax
비동기 프로그래밍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2장 | 비동기 프로그래밍
타이머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1장 | 타이머
Set과 Map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7장 | Set과 Map
디스트럭처링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6장 | 디스트럭처링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8장 |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스프레드 문법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5장 | 스프레드 문법
이터러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4장 | 이터러블
7번째 데이터 타입 Symbol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3장 | 7번째 데이터 타입 Symbol
String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2장 | String
RegExp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1장 | RegExp
Dat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0장 | Date
Math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9장 | Math
DOM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9장 | DOM
Number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8장 | Number
배열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7장 | 배열
이벤트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0장 | 이벤트
ES6 함수의 추가 기능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6장 | ES6 함수의 추가 기능
클래스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5장 | 클래스
this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2장 | this
빌트인 객체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1장 | 빌트인 객체
strict mod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0장 | strict mode
클로저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4장 | 클로저
프로토타입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9장 | 프로토타입
함수와 일급 객체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8장 | 함수와 일급 객체
실행 컨텍스트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23장 | 실행 컨텍스트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7장 |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6장 |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5장 |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전역 변수의 문제점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4장 | 전역 변수의 문제점
스코프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3장 | 스코프
함수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2장 | 함수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1장 |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객체 리터럴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0장 | 객체 리터럴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9장 |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
제어문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8장 | 제어문
연산자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7장 | 연산자
데이터 타입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6장 | 데이터 타입
표현식과 문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5장 | 표현식과 문
변수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장 | 변수
Iteration와 Generator
코드스피츠 77 ES6+ 3화 참조
WHATWG 탄생 배경
WHATWG, W3C, HTML의 관련에 대한 역사
프론트엔드(FE) 면접 질문 정리
FE관련 면접 질문 및 답변 정리한 내용입니다.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용어 정리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용어 정리
젠킨스(Jenkins) 정리
젠킨스(Jenkins) 정리
Docker 용어 정리
Docker 용어 정리
Git 용어 정리
Git 용어 정리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
CSS responsive 에 대하여
JS this에 대하여
this에 대해 알아보자
SQL*PLUS에 대하여
SQL*PLUS 정의 및 사용방법
Oracle에서 SQL Plan 확인하기
Oracle에서 SQL Plan을 확인해보자